봄, 새학기, 각종모임과 같은 단어가 떠오르는 1학기의 캠퍼스는 활기차고 풋풋한 모습들이 가득하다. 특히 3월 대학교의 모습을 더욱 풋풋하게 만드는 단어는 새내기 일 것이다. 이러한 새내기들에게 중요한 모임인 ‘대면식’은 1학기 행사에서 중요한 단어 가운데 하나다. ‘2012, 3월 x일 oo과 대면식, 신입생 필히 참석 요망’ 이라는 대면식 포스터가 학과 게시판이나, 홍보게시판에 즐비하다. 신입생과 재학생의 공식적인 첫 자리인 대면식은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생들에게는 기대가 되고 중요한 자리지만, 오늘날에는 신입생들에게 기대가 되거나, 유익한 행사가 아닌 음주, 얼차려 자리로 인식되고 있다.
‘새내기에 술 강요, 숨지게 한 대학생 유죄'(2011. 6. 30, 경향신문), ‘중부지역 C대학 선∙후배 대면식에서 신입생 소주 10잔 뒤 사망(2010. 5. 6 해럴드뉴스)과 같이 대면식은 과도한 음주문화로 나타나고 있다. 흔히 대면식은 ‘사발식’이라는 행사로 불리고 있다. 선배들이 커다란 사발에 막걸리 혹은 소주를 가득 채워 신입생들에게 마시게 한다. 심한경우에는 이물질이나 또 다른 술을 섞기도 한다. 만약 술을 다 마시지 못하면 “선배를 무시 하냐?”, “신입생 군기가 빠졌네.”라고 폭언을 하기도 한다.

음주문화뿐만 아니라 남자가 많은 공대, 체대의 경우에는 대면식이라는 이름아래 신입생들의 군기를 잡기 위해 군대식 얼차려가 행해지고 있다. 갓 제대한 복학생들이 군대에서의 권위주의 환상에 잡혀 군대식 유격훈련, 앉았다 일어났다, 선착순 달리기를 행하고 있다. 이러한 얼차려를 통해서 선배들은 신입생들이 선배를 무시하지 못하게 확실히 군기를 잡을 수 있다고 한다. 또한 학과에 대한 애착이 생긴다고 말한다. 하지만 신입생들의 생각은 다르다. 이러한 대학문화에 실망을 하고 선배들에 대한 존경의 마음은 사라지고, 오히려 과 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생긴다.
대면식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‘얼굴을 모르는 사람끼리 서로 얼굴을 마주보고 대하는 공식적인 의식으로 이를 통해 자신이 속한 그룹에 대한 긍지와 소속감을 높일 수 있다.’고 설명한다. 신입생들에게 어색한 대면식의 자리를 부드럽게 하기위해 약간의 음주는 필요할 수 있다. 또한 후배들에게 학과에 대한 규칙과 선배에 대한 예의를 알려 줄 수 있다. 하지만 오늘날의 대면식 문화는 본말전도가 되어서 행해지고 있다. 이러한 대면식 문화를 바꿔야 한다.
비너스
2012년 4월 30일 01:43
아직도 이런문화에..ㅜㅜ저런 군대같은 군기.솔직히 등록금 주고 대학보내면
거기서 공부배우 나..술배우고 오지 ㅜㅜ